Keyboard shortcuts

Press or to navigate between chapters

Press S or / to search in the book

Press ? to show this help

Press Esc to hide this help

복습문제 1

1. 공간정보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곳이 아닌 것은?

  1.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
  2. 브이월드(vworld.kr)
  3. 국토정보플랫폼
  4. LX 홈페이지

2. “콤마로 구분된 값들“이라는 뜻으로 엑셀 자료를 text 형식으로 공유하는데 사용하는 파일 포맷은?

  1. txt
  2. xls
  3. xlsx
  4. csv

3. 다운로드받은 공간정보를 전처리하는 방법의 예로 옳지 않은 것은?

  1. 10개의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의 값이 없으면 그 데이터 한 줄은 지운다
  2. 10개의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의 값이 없으면 그 칸에는 그 항목의 평균값으로 채워 넣는다.
  3. 10개의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의 값이 이상할 정도로 너무 크면 그 데이터 한 줄은 지운다.
  4. 값이 이상해도 지우거나 다른 값으로 대체하면 안된다.

4. 공간정보가 포함된 csv 파일을 DBMS에 입력하는 방법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1. hwp 파일로 변환한 후 DBMS에서 불러온다.
  2. QGIS에서 읽어온 후 DBMS로 내보낸다.
  3. 엑셀 파일로 변환한 후 DBMS에서 불러온다.
  4. 모든 DBMS가 공간정보 csv 파일을 불러올 수 있으니 그냥 사용하면 된다.

5. geoserver에서 입력으로 받을 수 있는 데이터 유형이 아닌 것은?

  1. shp 파일
  2. postgreSQL등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 연결
  3. hwp 파일
  4. jpg 파일

6. geoserver에서 출력된 정보는 지도 앱에서 어떤 용도로 사용할 수 있나?

  1. 도형의 모양을 정의
  2. 주제도를 위한 레이어
  3. 축척과 방위 표시
  4. 범례 표시

7. openLayers에서 geoserver의 정보를 사용하는 방법은?

  1. geoserver에서 보내주는 정보를 이용해 지도의 축척을 계산한다
  2. geoserver에서 보내주는 정보를 이용해 지도의 크기와 방위를 계산한다
  3. geoserver에서 보내주는 정보를 이용해 레이어를 생성한다.
  4. geoserver에서 보내주는 정보를 이용해 범례를 생성한다.

8. openLayers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는?

  1. c/c++
  2. java
  3. javascript
  4. sql

9. postGIS와 연동해 공간정보를 잘 다룰 수 있는 무료/오픈소스 DBMS는?

  1. oracle
  2. mysql
  3. sqlServer
  4. postgreSQL

10. openLayers의 역할은?

  1. 본격적인 지도 앱 생성
  2. 공간정보 자료 관리
  3. 다양한 공간정보 자료를 이용한 레이어 생성
  4. 인터넷 앱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범용 뷰어

11. geoserver가 csv 등 다양한 곳에서 값을 받을 수 있는데도 더 복잡하게 postgreSQL같은 DBMS로 부터 값을 받도록 구성하는 이유는?

  1. postgreSQL은 무료니까
  2. DBMS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지도에 반영하기 위해서
  3. csv는 믿을 수 없어서
  4. geoserver는 DBMS로부터만 값을 받을 수 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