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
- 브이월드(vworld.kr)
- 국토정보플랫폼
- LX 홈페이지
- txt
- xls
- xlsx
- csv
- 10개의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의 값이 없으면 그 데이터 한 줄은 지운다
- 10개의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의 값이 없으면 그 칸에는 그 항목의 평균값으로 채워 넣는다.
- 10개의 항목 중 어느 한 항목의 값이 이상할 정도로 너무 크면 그 데이터 한 줄은 지운다.
- 값이 이상해도 지우거나 다른 값으로 대체하면 안된다.
- hwp 파일로 변환한 후 DBMS에서 불러온다.
- QGIS에서 읽어온 후 DBMS로 내보낸다.
- 엑셀 파일로 변환한 후 DBMS에서 불러온다.
- 모든 DBMS가 공간정보 csv 파일을 불러올 수 있으니 그냥 사용하면 된다.
- shp 파일
- postgreSQL등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 연결
- hwp 파일
- jpg 파일
- 도형의 모양을 정의
- 주제도를 위한 레이어
- 축척과 방위 표시
- 범례 표시
- geoserver에서 보내주는 정보를 이용해 지도의 축척을 계산한다
- geoserver에서 보내주는 정보를 이용해 지도의 크기와 방위를 계산한다
- geoserver에서 보내주는 정보를 이용해 레이어를 생성한다.
- geoserver에서 보내주는 정보를 이용해 범례를 생성한다.
- c/c++
- java
- javascript
- sql
- oracle
- mysql
- sqlServer
- postgreSQL
- 본격적인 지도 앱 생성
- 공간정보 자료 관리
- 다양한 공간정보 자료를 이용한 레이어 생성
- 인터넷 앱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범용 뷰어
- postgreSQL은 무료니까
- DBMS로부터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지도에 반영하기 위해서
- csv는 믿을 수 없어서
- geoserver는 DBMS로부터만 값을 받을 수 있기 때문